애풀잭 2013. 8. 1. 04:53
















I'm Sorry - Brenda Lee
Track List
01. Coming on Strong
02. I'm Sorry
03. Fool #1
04. Break It to Me Gentily
05. All Alone Am I
06. As Usual
07. Emotions
08. Bobody Wins
09. Losing You
10. You Can Depend on Me
11. Too Many Rivers
12. I Wanto to Be Wanted
13. Sweet Nothin's
14. That's All You Gotta Do
15. Dum Dum
16. Rocking Aroound the Christmas Tree




즐거운 시간 되십시요... ~ applejack ~ 입니다


 

위의 재생 아이콘을 클릭 하시면 음악이 재생됩니다.


I'm Sorry - Brenda Lee







I'm Sorry - Brenda Lee


I'm sorry, so sorry
That I was such a fool
I didn't know
Love could be so cruel
Oh, oh, oh, oh, Uh-oh, Oh, yes

You tell me mistakes
Are part of being young
But that don't right
The wrong that's been done

[Spoken:]
(I'm sorry) I'm sorry
(So sorry) So sorry
Please accept my apology
But love is blind
And I was too blind to see
Oh, oh, oh, oh, Uh-oh, Oh, yes

You tell me mistakes
Are part of being young
But that don't right
The wrong that's been done
Oh, oh, oh, oh, Uh-oh, Oh, yes

I'm sorry, so sorry
Please accept my apology
But love was blind
And I was too blind to see (Sorry)


미안합니다, 정말 미안해요
내가 너무 바보 같아서
난 몰랐어요
사랑이 그렇게 잔인한 줄을
아~ 그래요

당신은 내게 말해주지요
실수는 철없는 시절 한 부분이라고
하지만 이미 저질러진 잘못을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은 옳지 않아요.

[낭독:]
미안합니다,
정말 미안해요
제발 내 사과를 받아 주세요
사랑은 눈 먼 거예요
나도 그 사랑에 눈이 멀어 볼 수 없었지요.
오~ 그래요

당신은 내게 말해주지요
실수는 철없는 시절 한 부분이라고
하지만 이미 저질러진 잘못을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은 옳지 않아요.
오~ 그래요

미안합니다, 정말 미안해요
제발 내 사과를 받아 주세요
내 사랑은 눈 먼 거였어요
나도 그 사랑에 눈이 멀어 볼 수 없었지요.















 ▒  Brenda Lee's Biography

1944년 12월 11일 미국 '조지아(Georgia)'주 '애트랜타(Atlanta)'시 태생. '데뷰(Debut)' 1956년 언제나 힘있는 목소리에 애절한 느낌을 전해주는 창법으로 우리에겐 '미스 다이나마이트(Miss Dynamite)'라는 별명으로 더 잘알려진 가수입니다.

물론 그녀의 키가 서양인으로서는 작은 147.5㎝ 라는 단신이기에 더욱더 그 별명에 대한 의미가 강렬하지요. 그녀가 연예계에 발을 딛게 된 동기는 6살 때 TV 어린이 '타렌트 콘테스트(Talent Contest)'에서 화려한 수상을 하게 되면서부터라고 합니다.

12살도 채 안된 어린나이에 '데카 레코드사(Decca Records)'와 장기 계약을 맺고서 '데뷰(Debut)'전에 말하는 법, 걷는 법,등 연예인이라면 꼭 갖추어야 할 여러가지 '매너(Manner)'와 '쇼맨십(Showmanship)'을 몸에 완벽히 익히는 준비기간을 통해서 그녀는 하나의 연예인으로서의 완벽한 모습을 갖추었다고 합니다.

드디어 1956년 3월 너무나도 유명한~
'더 에드 설리반 쇼(The Ed Sullivan Show)',
'더 스티븐 아랜 쇼(The Steve Allen Show)',
'더 테네시 어니 포드 쇼(The Tennessee Ernie Ford Show)',
'더 딕 클락 쇼(The Dick Clark Show)',
'더 밥 홉 쇼(The Bob Hope Show)',등 수많은 국내외 '쇼 프로(Show Pro)'에 출연하여 명성을 떨치는가운데 1956년 '잠발라야(Jambalaya)', 1957년 '원 스탭 애트 어 타임(One Step At A Time)', 1959년 '스윗 낫딩스(Sweet nothings)' 등이 '히트(Hit)' 하면서 50년대를 대표하는 여자 '컨트리(Country)' 가수로 등장하게되지요

하지만 국내에서는 그녀의 대표적인 노래라면 1960년의 최고의 '히트(Hit)' 곡 '암 소리(I'm Sorry)', '댓스 올 유 거터 두(That's All You Gotta Do)'와 1962년의 최고의 '히트(Hit)' 곡 '올 얼론 암 아이(All Alon Am I)', 가 아닌가합니다.

아무튼 그녀의 '히트(Hit)' 곡 행진은 계속되어집니다. 1961년의 '이모션스(Emotions)', '유 캔 디펜드 언 미(You Can Depend on Me)', '덤 덤(Dum Dum)', '풀 넘버원(Fool #1)', '부레익 투 미 젠틀리(Break To Me Gently)', 1963년의 '루싱 유(Losing You)',등등이 그녀의 주요 히트 곡이지요.

브렌다 리(Brenda Lee)'의 '다이나믹(Dynamic)'한 매력은 전세계적인 공감을 얻어 그녀는 30개국이 넘는 외국공연을 하였으며 영국서는 여왕을 위해 '메시코(Mexico)'에서는 대통령을 위한 '콘서트(Concert)'를 열기도 했다고합니다.

한 때 '브렌다 리(Brenda Lee)'는 세계의 인기 투표에서 세계의 여성 '보컬리스트(Vocalist)' NO.1 에 선정되기도 하였고 1962년 '빌보드지(Billboard)'지 선정 여성 '보컬리스트(Vocallist)' NO.1에 '벨기에(Belgium)'에선 '에디슨(Edison)' 상이라는 것도 수상하는 등 황금시대를 누리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녀의 공연은 '더 쇼 머스트 고 언(The Show Must Go on)' 이라는것을 모토로하고 있어서 한 때는 '필라델피아(Philadelphia)'의 한 무대에서 넘어져 척추뼈가 부러지는 중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쇼(Show)'를 계속해나간 일화도 있다고 합니다.[믿거나 말거나입니다!]

애절한 '발라드(Ballad)'를 구사하던 '브렌다 리(Brenda Lee)'는 그 후 1970년대로 넘어 오면서 '컨트리(Country)' 음악으로 음악적 변신을 시도 하였으며 1980년 사이에 '텔 미 훳 잇스 라이크(Tell Me What It's Like)', '더 카우걸(The Cowgirl)' '더 댄디(The Dandy)', '부록큰 트러스트(Broken Trust)', '노버디 윈스(Nobody Wins)', 등을 발표하면서 노익장을 과시하기도 하였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