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 시대의 장군. 당나라에서 활동하다가 신라로 돌아와 왕의 허락을 받아 828년(흥덕왕 3년) 1만의 군사로 청해진을 세웠다. 그는
청해진을 거점으로 해적들을 소탕하고 신라와 당·일본 사이의 무역을 독점하였다. 현재 청해진 복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8. 강감찬의 귀 주 대 첩
강감찬(948∼1031)은 고려의 명장으로 현종 9년(1018)에 소배압이 이끄는 거란의 대군을 고려군 20만을 이끌고 적의 후면을
공격하여 귀주에서 크게 무찔렀다.
9. 과 거 제 도
과거는 능력에 따른 관리 등용 제도로 고려 958년 (광종 9)에 후주의 귀화인 쌍기의 건의에 따라 실시되었다.
고려의 과거제도는 크게 제술과와 명경과, 잡과, 승과로 불류할 수 있으며, 특히 한당 유학의 영향으로 조선시대와는 달리 유교 경전을 해석하는
시험인 명경과 보다는 유교 경전에 입각한 여러 가지 글을 짓는 시험인 제술과를 중시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무과가 추가되고 승과가 폐지되어 고려와는
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다.
10. 팔 만 대 장 경
팔만대장경은 고려 고종 때의 몽골군의 침입을 격퇴하려는 염원에서 목판에 불교경전을 새긴 대장경으로 현재 합천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다.
11. 금속활자 발명
금속활자인쇄는 목판의 단점을 보완하여 나타난 인쇄술이다. 금속활자로 만들어진 최초의 책은 고려 1234년 (고종 21년)에 강화도에서
인쇄한 『상정고금예문』이다. 현재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으로 공인된 것은 1377년 (우왕 3년)에 간행된 『직지심체요절』로 현재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있다. 그러나 고려는 먹과 종이의 우수성 때문에 기계장치를 이용한 인쇄술로 발전시키지는 못하고 그 일은 독일의 쿠텐베르크가 맡게
된다.
12. 안향의 성리학 전래
안향은 우리나라에 최초로 성리학을 도입하고 교육에 힘쓴 고려시대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그는 몽고의 간섭, 정국의 불안정, 불교의 부패 등
국가적 위기의 상황에서 대의명분을 강조하는 성리학을 수용하였다. 단순히 성리학의 전래자로서 뿐만 아니라 이를 적극적으로 교육하여 널리 보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여 조선 중종 때의 풍기 군수 주세붕이 영주에 그를 모시는 서원을 세우고 이황의 건의에 따라 명종이
'소수서원'이라는 이름을 내렸다.
13. 문익점과 목화의 전래
문익점은 고려 말의 문신이자 학자이지만 목화씨의 전래자로서 더 유명하다. 공민왕 때에 중국 원나라에 갔다가
귀국하면서 목화씨를 가져와 장인인 정천익과 함께 3년여의 노력 끝에 목화재배에 성공하였다. 또한 씨를 빼는 씨아와 실을 뽑는 물레를 만드는
방법을 익혀 보급하였다. 이로 인해 백성들의 의복이 삼베옷에서 무명옷으로 바뀌는 일대 의류 혁명이 일어났다.
14. 한 글 창 제
세종대왕의 주도하에 1443년 한글이 발명되었다. 한글의 창제에는 우리말이 중국 말과 다름에도 불구하고 중국 글자를 씀으로 불편한 점이
많아 우리말에 맞는 새 글자를 만든다는 민족 자주정신과 어리석은 백성이 쉽게 글자를 배울 수 있어야 한다는 세종대왕의 애민사상 그리고 유교이념의
전파를 통한 백성 교화 의지가 낳은 것이다. 한글은 1446년 반포되었다.
15. 김종서의 육진 개척
김종서는 조선 초의 충신으로 1405년 문과에 급제, 형조·예조 판서와 우의정·좌의정 등을 지냈다.
1434년(세종16)에는 함길도 관찰사로서 두만강 가의 여진족을 무찌르고 6진을 설치하여 두만강을 경계로 하는 조선의 국경이 정해지게 되었다.
16. 임진왜란 발발
1592년 조선건국 후 꼭 200백년 후에 조선은 큰 전란에 휩싸이게 된다. 이 우표는 임란 발발 400년을 기념하여 1992년 발행한
우표이다.
17. 임진왜란과 이순신
임진왜란 7년 전쟁 동안 처음에는 관군이 패배하여 어려운 상황이 전개되었으나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수군이 해전에서
잇달은 승리를 하고, 육지에서도 전국 각지의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의병을 조직하여 향토방위에 나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이 전쟁의 결과 명은
쇠퇴하고 청이 흥하기 시작하였고, 일본은 우리나라의 활자, 도자기, 서적 등 문화재를 약탈하고, 학자와 기술자 등을 납치해 감으로써 엄청난 문화
발전의 계리를 마련하였으며 조선에서도 급격한 사회변화가 초래되었다.
18. 한산도 대첩
1592년 (선조 25) 7월에 적이 웅천에서 거제도로 향한다는 소식을 듣고 이순신 전라 좌수사와 이억기 전라 우수사 및 원균 경상 우수사
세 사람은 노량에서 행선을 수습하고 견래량 통영군 사등면으로 향하였는데 마침 그곳에 적선이 대량으로 나타났으며 이 싸움에서 이순신은 적선
73척을 격파했다. 그 뒤부터 일본 수군은 감히 남해안 지역으로 들어오지 못하였다.
19. 행 주 대 첩
임진왜란 때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크게 무찌른 싸움이다. 그는 서울을 수복하려고 군사를 이끌고 1593년(선조 26) 2월, 1만여
명의 병력으로 행주산성에 집결하였는데 일본은 3만여 명의 군사로 내습하여 성을 여러 겹으로 포위하고 9차에 걸쳐 공격을 가해 왔다.
20. 신 사 임 당
신사임당은 1504(연산군10) ∼1551년(명종6)동안 생존한 문인이자 예술가로서 시·글씨·그림에 모두 뛰어났으며, 율곡 이이의 어머니로
덕행과 재능을 겸비한 현모양처로 널리 칭송되었다. 이이는 『행장기』글 지어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 우아한 천품, 순효한 성품 등을 기록했다.
사임당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는 그림은 40폭 정도인데, 산수·포도·묵죽·묵매·초충 등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즐겨 그렸다.